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지금 가장 핫한 오라클 주가 실적 전망, 오픈AI와 클라우드 계약
    카테고리 없음 2025. 9. 29. 12:26
     
     

    안녕하세요 경제 인플루언서 디노!입니다.

    오라클이 오픈AI와 대규모 클라우드 계약을 맺었습니다.

    순식간에 시가총액이 50% 증가하면서 불꽃상승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전문가들의 목표주가 전망까지 살펴봤습니다.


    목차

    1. 이번주 핫한 종목 오라클

    2. 오라클은 왜 올랐을까?

    3. 오라클 주가 전망

    4. 디노's Comment

    1. 이번주에 가장 핫한 주식은 '오라클'

    이번주 미장에서 가장 주목받는 종목은 바로 '오라클' 일것 같습니다.

    불과 5일만에 48% 상승한 오라클은 현재 시가총액 1300조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시가총액 900조에 육박한 기업이 5일반에 이렇게나 상승하다니.. 진짜 미장은 다르구나... 또 한번 느끼는데요.

    오라클 주가는 도대체 왜..? 이렇게까지 올랐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오라클 주가

    2. 오라클 왜 올랐을까?

    오라클은 얼마전 분기실적을 발표한바 있습니다.

    - 1분기 매출 : $149.26억 yoy 12%증가

    - 1분기 순이익 : $29.3억 yoy 0%

    매출과 순이익만 본다면 이렇게까지 상승할 이유가 없어 보이는데요.

    심지어, 이 매출 이익은 시장의 예상치보다 낮은 수준이였습니다.

    다만, 시장은 클라우드 분야의 성장성에 반응했는데요.

    클라우드 분야의 매출은 $33.47억으로 전년대비 55% 증가했습니다.

    또, 2026년 회계연도 기준 클라우드 부문 매출은 $180억으로 전망했습니다.

    이어서 27년도 $320억, 28년도 $730억, 29년도 $1140억, 30년도에는 $1440억까지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는데요.

    연간 매출이 $550억임을 고려하면, 앞으로 클라우드 분야의 매출이 얼마나 대단한 수준인지 느껴집니다.

    오라클의 연간매출액

     

    실제로 오라클은 오픈AI와 $3000억에 달하는 클라우드 계약을 맺은것으로 알려졌는데요.

    2027년부터 5년간에 걸친 계약이라고 밝힌만큼 오라클이 발표한 실적전망치는 다 근거가 있었습니다.

    오라클 오픈AI 클라우드 계약

    다만, 이 같은 계약에 양쪽회사 모두 걱정스러운 부분이 있습니다.

    오라클의 연간 영업흐름은 약 $215억 수준인데, 이미 $274억을 데이터센터 설비에 지출하고 있습니다.

    이미 부채비율은 400%가 넘어가는데 앞으로 더 많은 부채를 끌어서 투자를 지속해야한다는 점에서 리스크가 있구요.

    오픈AI는 아직 매출이 $100억 수준으로 크지 않은데 매년 $600억 을 지출해야하는 계약으로 그 규모가 상당히 큽니다.

    지금까지는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에 의존했으나 워낙에 수요가 커지는 만큼 다른 기업이 필요해진만큼 그 대안으로 오라클을 선택했는데, 두 기업 모두 상당한 리스크를 안고 사업에 도전한 셈이 되었습니다.

    3. 오라클 주가 전망은?

    이번 발표 이후 전문가들은 전무 목표주가를 크게 상향시켰습니다.

    작게는 $345부터 시작해서 높게는 $410까지 목표를 크게 올렸고, 스트롱 바이를 외치고 있습니다.

    이미 너무 많이 오른게 아닐까..?

    고민스럽기는 하지만 오라클에서 발표한 숫자를 본다면 현재 엔비디아의 매출수준과 맘먹는 수준이라는점을 고려해보면 분명히 긍정적인 면도 있습니다.

    다만 오라클의 이 같은 실적은 향후 4,5년이 지나야 가능하다는 점에서 보면 너무 미래가치를 끌어왔다는 생각도 드는데요.

    앞으로 오픈AI 이외에 다른 회사와도 계약할 수 있다면..? 또 이야기는 달리질것 같습니다.

    오라클 주가전망

    이미 오라클에는 오픈AI와의 대규모 빅딜에 대한 가치가 상당부분 포함된것으로 보이는데요.

    오라클의 향후 계약 규모가 더 늘어날 여지가 있고, 이를 감당한 케파가 되는지를 잘 고려해보시고 투자하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