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은퇴 후 소득 크레바스(연금 공백기) 뜻, 대응 방법은?카테고리 없음 2024. 10. 23. 12:04
우리는 언젠가 지금 다니던 직장을 퇴직하거나, 업무를 그만두면서 은퇴를 맞이하게 되는데요. 은퇴를 한다는 것은 단순히 근로 현장에서 벗어난다는 것 이상으로 매우 중요한 기점입니다.
특히나, 일을 하는 동안에는 어떻게든 근로소득이 생겼지만,
은퇴 이후에는 가장 중요한 정기적인 근로소득이 더 이상 나오지 않는 다는 의미이죠.
그래서 많은 분이 국민연금으로 노후 자금을 준비해두고 계시는데, 문제는 은퇴 시기와 연금 수령시기 사이에 점점 간극이 벌어진다는 것입니다. 은퇴는 했지만, 아직 연금 수령을 받기에는 이른 나이라 별다른 소득이 없는 소득 공백기를 은퇴 크레바스라고도 표현하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바로 은퇴 후 소득 크레바스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소득 크레바스, 정확한 뜻은?
빙하 표면에 생긴 균열, 크레바스(crevasse)
소득 크레바스는 직장에서 은퇴한 후 국민연금을 받기 시작할 때까지 안정적인 소득이 없는 기간을 의미합니다. '은퇴 크레바스' 또는 '소득 절벽'이라고도 불리는 이 현상은 많은 한국 직장인들이 직면하는 현실적인 문제입니다.
이 기간 동안 생계에 위협을 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크레바스 공포’라고도 합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50대 중반에 은퇴해 60대에 연금을 수령할 때까지 약 5년 정도의 공백기간이 발생하는데, 많은 50대들이 국민연금에 크게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이 기간 동안의 소득 공백은 큰 문제가 됩니다.
실제로 통계에 따르면, 노후 준비를 하고 있는 50대의 67%가 국민연금을 가장 큰 준비 방법으로 꼽고 있기 때문에 이들에게 있어서 크레바스 공포는 상당히 클 것입니다.
대한민국 은퇴 나이, 그리고 연금 수령 나이
출생연도정상 수령 나이1952년생 이전60세1953 ~ 1956년61세1957 ~ 1960년62세1961 ~ 1964년63세1965 ~ 1968년64세1969년 이후65세법적으로 우리나라 근로자의 정년은 60세 이상으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조금 다릅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19년 기준 한국 직장인의 평균 퇴직 연령은 49.5세였습니다.
반면 국민연금 수급 개시 연령은 점차 늦춰지고 있습니다. 1998년 연금제도 개혁으로 2013년부터 61세였던 수급 연령이 2033년까지 65세로 단계적으로 상향 조정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실을 고려하면, 많은 직장인들이 10년 이상의 소득 크레바스 기간을 겪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50세에 퇴직한 사람이 62세에 국민연금을 받기 시작한다면, 그 사이 12년 동안 안정적인 소득 없이 생활해야 합니다. 2024년이라고 평균 퇴직연령이 51세라고 하니, 생각보다 더 많은 시간을 소득 절벽인 상태로 보내야 할지도 모릅니다.
연금 공백기, 발생할 수 있는 문제는?
기본적인 생활 유지의 어려움
✅식비, 주거비, 의류비 등 기본적인 생활비 마련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특히 주택 담보 대출이나 월세와 같은 고정 지출이 있는 경우, 이를 감당하기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자녀 교육비나 결혼 자금 지원 등 가족에 대한 경제적 지원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여가 활동이나 문화생활 등 삶의 질과 관련된 지출을 줄여야 할 수 있습니다.
건강 관련 위험
✅정기적인 건강검진이나 예방적 의료 서비스 이용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만성질환 관리에 필요한 지속적인 의료비 지출이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갑작스러운 중병이나 사고 발생 시 고액의 의료비를 감당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민간 의료보험 유지가 어려워져 의료비 부담이 더 커질 수 있습니다.
부채 증가
✅생활비 부족으로 신용카드 사용이 늘어나 카드 빚이 쌓일 수 있습니다.
✅긴급 자금 필요 시 고금리 대출을 이용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기존 대출의 원리금 상환이 어려워져 연체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신용도가 하락할 수 있습니다.
✅부채 상환 부담으로 인해 미래를 위한 저축이나 투자가 불가능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들은 서로 연관되어 있어, 하나의 문제가 다른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생활비 부족으로 인한 부채 증가는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고, 이는 다시 의료비 부담을 증가시켜 경제적 어려움을 가중시킬 수 있습니다.
은퇴 크레바스 대비할 수 있는 방법은?
은퇴 크레바스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방법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먼저, 개인연금이나 퇴직연금과 같은 사적연금을 활용하여 추가적인 소득원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국민연금만으로는 부족할 수 있는 노후 자금을 보완하는 데 도움이 되고, 무엇보다 사적연금은 국민연금보다 더 이른 나이에 연금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국민연금 조기수령제도를 이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이 제도를 통해 연금 수령 시기를 앞당길 수 있어 소득 공백 기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다만, 조기 수령 시 연금액이 감소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은퇴 전부터 제2의 직업을 준비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재취업이나 창업을 통해 새로운 소득원을 만들어 크레바스 기간 동안의 경제적 어려움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아울러 은퇴 후 예상되는 지출을 미리 계산하고, 이에 맞춰 저축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출을 줄이고 불필요한 소비를 자제하여 은퇴 후 재정 상황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투자 방법을 고려하여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안정적인 수익을 낼 수 있는 투자 상품들을 적절히 조합하여 은퇴 후 추가적인 수입을 창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방법들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은퇴 크레바스에 대비한다면, 보다 안정적인 노후 생활을 영위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