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e.mjstoreit

Today
Yesterday
Total
  • 2024년 7월 기준소득월액 결정! 국민연금에 미치는 영향은?
    카테고리 없음 2024. 10. 22. 17:18

    기준소득월액 결정

     

     

     

    국민연금에 관심이 있는 분이라면 기준소득월액에 대해서 한 번쯤을 들어보셨을 텐데요. 이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은 보험료 산정 기준이 되는데, 매년 7월에 그 기준이 변경됩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2024년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결정된 금액과 함께 기준소득월액 변화가 국민연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기준소득월액, 도대체 뭘까?

    14만 여명이 활발하게 활동하며, 은퇴 후 삶에 도움이 여러 정보를 공유하는 <은퇴 후 50년>에서는 국민연금 관련 정말 많은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는데요. 국민연금과 자주 언급되는 단어가 바로 기준소득월액입니다.

    국민연금에서 자주 듣게 되는 '기준소득월액'이라는 용어, 정확히 무엇을 의미할까요?

     

    기준소득월액은 국민연금 보험료를 계산하고 향후 받게 될 연금액을 산정하는 기초가 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간단히 말해, 기준소득월액은 가입자가 신고한 월 소득에서 1,000원 미만을 절사한 금액을 의미합니다. 정부에서는 매년 5월에 실시되는 국민연금 소득총액 신고를 통해 해마다 전체 기준소득월액을 결정하고 발표해 7월부터 다음 해 6월까지 적용됩니다.

     

     

    기준소득월액 = (소득총액 / 총 근무일수) × 30일

     

    이러한 방식으로 기준소득월액을 적용하는 이유는 가입자의 실제 소득을 기준으로 공정하게 연금보험료를 부과하고, 가입자 간의 부담 형평성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2024년 7월 기준 기준소득월액

    국민연금 전체 가입자의 3년간 평균소득 월액의 평균액(A값), 즉 기준소득월액이 2024년에는 전년도보다 4.5% 인상되었습니다. 이는 물가상승과 임금인상 등 경제 상황을 반영한 결과입니다.

     

    보다 구체적인 금액 수준을 알고자 할 경우에는 상·하한액을 살펴보셔야 하는데요. 이 부분은 다음 챕터에서 이어서 설명하겠습니다.

    기준소득월액 인상에 따른 상·하한액

    기준소득월액에는 상한액과 하한액이 정해져 있습니다. 이는 소득이 특정 범위 내에 있도록 하기 위한 제도로, 소득이 하한액보다 적으면 하한액으로 간주하고, 상한액보다 많으면 상한액으로 간주합니다.

     

    ✅상한액: 590만 원 → 617만 원
    ✅하한액: 37만 원 → 39만 원

     

    기준소득월액 변경이 국민연금에 미치는 영향

    국민연금을 받으시는 분보다 내는 분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게 기준소득월액인데요. 국민연금 보험료는 기본적으로 가입자의 기준소득월액에다 보험료율(9%)을 곱해서 매깁니다.

     

    2024년 기준소득월액 하한액과 상한액이 상향된 만큼 이를 기준으로 국민연금 보험료 역시 인상이 됩니다. 기존에 소득이 37만원 이하였다면 37만원에 9%를 곱했겠지만 앞으로도 39만원을 기준으로 보험료가 계산되는 거죠.

     

    조금 더 쉬운 예를 들어볼까요?

    하한액에 해당하는 경우

    기존에 A씨는 월소득이 37만원이었고 이에 대해서 연금보험료를 냈을 때, 37만원 * 9%에 해당하는 33,300원을 납부했습니다. 하지만 7월 이후에는 월소득이 37만원 그대로라도 하더라도 정부에서는 변경한 하한액 기준은 39만원으로 인정합니다. 결과적으로 35,100원을 앞으로는 연금보험료로 납부해야 합니다. 전보다 -1,800원 더 오른 금액이죠.

     

    상한액에 해당하는 경우

    B씨는 6월까지 월소득이 590만원이었다면, 기존에는 531,000원만 보험료로 납부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소득이 변하지 않았더라도, 7월 이후에는 555,300만원을 납부하게 됩니다. 24,300원이 인상된 셈입니다.

     

     

    복지부에 따르면, 기준소득월액 상하한액 조정으로 보험료가 인상된 경우에는 연금급여액 산정에 기초가 되는 가입자 개인의 생애 평균 소득월액 역시 높아져, 연금수급 시에는 더 많은 연금수령액을 받게 된다고 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