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은퇴 후 이민 왜 필리핀이 인기있을까? (ft.은퇴이민 전 필수 체크사항)
    카테고리 없음 2024. 10. 22. 16:58

     

     

    은퇴 후 이민 왜 필리핀

     

     

     

    최근에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이 은퇴한 노인은 이민을 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담긴 글을 써 많은 분이 씁쓸함을 느끼셨을 텐데요. 사실 은퇴 후 이민은 단순히 일하지 않을 때 떠나는 것이 아니라 젊은 시절 열심히 일하고 노후는 다른 나라에서 다른 방식으로 삶을 이어나가고자 하는 분들이 고려하는 선택지 중 하나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번에 공개된 글과는 별개로 많은 분이 은퇴 후 이민을 고려중이고, 어떤 나라를 가야할지 고민은 하고 계시는데요.

     

    세상에는 정말 다양하고 좋은 나라가 많은데, 그중에서 오래전부터 인기가 있는 곳은 역시 동남아시아입니다. 특히, 필리핀으로 이민을 가신 분들도, 가고자 하는 분들도 많으신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왜 필리핀이 은퇴 이민 국가로 인기가 많은지와 함께 이민을 할 때 꼭 고려해봐야 할 내용을 공유해보겠습니다.

     

    은퇴 후 이미, 필리핀이 인기 있는 이유1. 정책적인 지원

    동남아는 사실 어제, 오늘 언급되는 게 아니라 과거부터 지속적으로 은퇴 후 살고 싶은 나라 중 하나로 꼽히는 곳인데요. 기본적으로 우리나라보다 물가가 저렴한 경우가 많아서, 과거부터 많은 은퇴 인구가 노후를 보내고자 동남아로 향하고 있습니다.

     

    특히, 동남아시아 국가적으로도 자신의 나라보다 소득이 높은 국가의 은퇴자들을 자국으로 유입시키기 위해서 여러 은퇴이주비자 정책 등을 펼치면서 한국뿐 아니라 다른 나라에서도 관심을 가지는 곳이기도 합니다. 그중에서도 필리핀은 다른 나라의 은퇴자 유입에 꽤 많은 공을 들이고 있습니다.

     

    필리핀에는 은퇴비자 SRRV(Special Resident Retiree’s Visa)를 발급해주는 은퇴청이 있는데요.비자는 일정 금액을 필리핀 은퇴청(PRA)이 지정한 은행에 예치하는 것을 조건으로 외국인(foreign national) 또는 이전 필리핀 시민권자(former Filipinos)에게 필리핀 거주의 특혜를 제공하는 비이민자 특별비자(special non-immigrant visa)에 해당합니다.

     

    이 비자를 갖고 있다면, 무기한으로 필리핀에서 체류할 수 있게 되는 것이죠. 그리고 국가적으로 은퇴자 유입을 유도하는 만큼, 정책적으로도 은퇴자들이 살기 좋은 나라로 꼽히기도 합니다.

    SRRV(Special Resident Retiree’s Visa)

    예치금 기준(2023년 기준)

    ✅연금이 있는 경우: 10,000달러

    ✅연금이 없는 경우: 20,000달러

    *부양가족 2인 외 추가로 비자 신청 시, 1명당 15,000달러 비자 예치금 추가

     

    SRRV(Special Resident Retiree’s Visa) 비자 발급 비용(2023년 기준)

    ✅신청자 본인(Principal applicant) : 1,400달러

    ✅배우자나 자녀 등 가족(Dependent applicant) : 300달러/1인

     

    SRRV(Special Resident Retiree’s Visa) 혜택

    ✅신청자 본인 외 배우자or21세 미혼 자녀 비자 함께 신청 가능(부양가족 2인은 예치금 없이)

    ✅필리핀 무기자 체류 특권(왕복 항공권 불필요)

    ✅이민국 서류, 증명 과정 일부 / 필리핀에서 출국 시, 여행세 면제

    ✅학생비자 발급 면제

    은퇴 후 이미, 필리핀이 인기 있는 이유2. 저렴한 물가

    출처: NUMBEO 홈페이지

    필리핀은 우리나라 기준으로 봤을 때는 물론, 전세계적으로도 비교적 저렴한 물가를 자랑합니다. 실제로 전세계의 물가 지수를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를 통해서도 쉽게 알 수 있는데요.

     

    조금 더 직관적인 예를 들자면, 우리나라의 부산에서 월 생활비를 520만원 정도로 사용했던 가족이 필리핀 세부에서는 약 320만원으로도 비슷한 수준의 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는 단순 계산으로 본 것이지만, 그만큼 필리핀은 우리나라에 비해서 물가가 저렴해 한국에서보다 더 적은 금액으로도 비슷한 생활 수준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다만, 필리핀이 모든 분야에서 우리나라보다 더 적은 돈이 드는 것은 아니고 일부 항목에서는 오히려 우리나라보다 비싼 경우도 있으니 조금 더 꼼꼼하게 생활비 수준을 비교해보시는 게 좋습니다.

    필리핀 은퇴 이민 결정 전,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항은?

    ✅생활비 및 예산이 나의 현재 재정상태에 적합한가?

    필리핀으로 은퇴 이민을 고려할 때 가장 먼저 생각해야 할 부분은 생활비와 예산입니다.

    필리핀은 한국에 비해 물가가 낮지만, 은퇴 후 장기간 거주할 것을 고려하면 안정적인 재정 계획이 필수적입니다. 월별 생활비, 주거비, 의료비 등을 상세히 조사하고 본인의 연금이나 저축으로 충분히 감당할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필리핀 거주 중, 다치거나 아팠을 때 의료 체계가 괜찮은가?

    필리핀의 의료 시스템은 지역에 따라 품질이 크게 다릅니다. 마닐라, 세부, 다바오 등의 주요 도시에는 현대적인 병원과 시설이 갖춰져 있지만, 지방으로 갈수록 의료 서비스의 접근성과 품질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의료보험 가입 여부와 비용도 중요한 고려 사항입니다. 의료비를 충당할 수 있는 보험이 있는지, 혹은 본인의 재정 상태로 이를 감당할 수 있는지 검토해야 합니다. 또한, 특정 질병이나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 필리핀에서 해당 질병을 관리하고 치료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영어권 국가에서 충분히 의사소통이 가능한 정도의 언어 수준을 가졌는가?

    필리핀은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국가 중 하나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영어로 의사소통이 가능합니다. 기본적인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영어 의사소통이 가능해야 하며, 특히 비상 상황이나 의료 서비스 이용 시 원활한 의사소통이 중요합니다. 만약 영어 실력이 부족하다면, 기본적인 회화 능력을 키우기 위해 영어 학습을 미리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열대 기후와 태풍 등이 잦을 경우 적응할 수 있는가?

    필리핀은 열대 기후를 가지고 있으며, 연중 기온이 높고 습도가 높은 편입니다. 또한, 태풍이 자주 발생하여 매년 여러 차례 강한 태풍이 필리핀을 강타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기후에 적응할 수 있는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없는지 고려해야 합니다. 더운 날씨에 적응하기 어렵거나 기후로 인해 건강 문제가 생길 수 있다면, 신중히 생각해보아야 합니다.

     

    또한, 태풍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안전한 주거지를 선택하고, 태풍 대비 방법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민을 결정했다면, 미리 준비해야 할 사항은?

    ✅금융 및 자산관리 등 한국의 자산을 필리핀에서도 이용할 수 있는가?

    이민 후에도 한국에 있는 자산을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해야 합니다.

    한국의 은행 계좌를 계속 유지하고, 필리핀에서 손쉽게 자금을 인출하거나 송금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봐야 합니다.

     

    또한, 필리핀 현지 은행 계좌 개설 절차와 필요한 서류를 준비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와 더불어, 한국의 부동산이나 기타 자산을 어떻게 관리할지, 혹은 처분할지를 결정해야 합니다. 인터넷 뱅킹이나 국제 송금 서비스 등을 활용해 필리핀에서도 자산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합니다.

     

    ✅국민연금 해외송금 신청 준비를 했는가?

    국민연금을 받고 있는 경우, 국민연금공단에 해외 이주 신고를 하고 해외 송금 절차를 밟아야 합니다. 이는 은퇴 후 안정적인 수입원을 확보하는 데 매우 중요하므로 반드시 사전에 준비해야 합니다.

     

    ✅이중국적 및 세금 문제를 명확히 인지했는가?

    필리핀으로 이민을 갈 경우 이중국적 문제와 세금 문제도 고려해야 합니다. 필리핀 영주권 취득 시 한국 국적은 어떻게 되는지, 양국에서의 세금 납부 의무는 어떻게 되는지 등을 정확히 파악해야 합니다. 특히 이중과세방지협정 등 관련 법규를 숙지하여 불필요한 세금 부담을 피하고 법적 문제에 대비해야 합니다.

Designed by Tistory.